2016년 희망지사업으로 도시재생을 시작한 수유1동. 올해 말 마중물사업 종료를 앞두고 그동안 주민들의 꾸준한 도시재생 활동이 하나둘 결실을 맺고 있다.
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 사업의 법적,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한 구자훈 교수가 지난 7년간 진행된 1단계 도시재생을 돌아보았다.
지난 6월 9일, 남산예장공원이 정식 개장했다. 일제강점기와 군사독재 시절, 침략과 인권 유린의 현장으로 훼손되며 출입이 통제되던 이곳은 남산 일대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115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서울로7017이 연결하는 크고 작은 길들은 구체적인 삶의 흔적을 발견하고 체험하기에 가장 좋은 도보여행 코스다.
주민 바리스타 권효정, 류경아를 만나 계단집을 운영하며 체감하고 있는 도시재생의 자립을 이야기했다.
서울 서대문구의 역사가 깃든 유진상가. 이곳에 들어선 새로운 공공 예술공간 ‘홍제유연’으로 떠나는 도시재생 여행
도시재생으로 다시 태어난 노들섬이 각별한 이유는 주변을 배려한 세심한 건축 설계와 콘텐츠 기획력에 있다.
정성스레 가꾼 도시재생 공간부터 도시재생 기업 사례까지, 마을 해설사들이 안내하는 창신숭인 투어 프로그램을 따라가보자.
대한민국 산업 부흥의 영화를 누리다 낙후되었던 세운상가가 ‘다시-세운’ 프로젝트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집수리는 삶의 질을 확실히 높여준다. 그러나 그 공사의 여정이 쉬운 일은 아니다. 더욱이 본인이 살 집이 아니라면 선뜻 마음먹기 힘든 일. 집주인과 집수리업체, 집수리코디네이터와 현장 점검자까지 긴밀한 소통과 협업으로 완성한 서울가꿈주택 집수리 지원사업(이하 서울가꿈주택사업) 홍은동 사례를 소개한다.
시카고 밀레니엄 파트는 시민의 삶과 어우려져 문화, 사회적 가치와 함께 제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는 랜드마크 이상의 가치를 가졌다.
ⓒ서울시도심 속 근대역사로 떠나는 도보여행정동:과 거닐다정동 역사재...
READ MORE
서울 도시재생기업 CRC(Community Regeneration...
직접 공간을 꾸미고 있는 개복동 작업 모습 photo by ⓒ조...
운영 시간 : 화~일요일 10:00~19:00 (월요일·공휴일 휴관)
도슨트 투어 : 평일·주말 14 시, 16 시
위치 : 서울 종로구 송월길 14-3 (돈의문박물관마을)
문의 : 070-4160-3963
(카드뉴스) 착수신고 전, 잠깐 확인하면 든든한 꿀 정보!
(목3동) 목3동 사업기록화 자료집 발간
(채용) 고려대 안암동 캠퍼스타운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모집 공고
(현장센터) 제3회 장미꽃빛거리 프리마켓 행사 개최
(채용) 면목패션봉제특구 도시재생지원센터 코디네이터 모집
서울 광역∙기초∙현장에 있는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한곳에서 만나보세요.